
앞선 포스팅과 이어서 포스팅해보겠습니다 마스터링 트랙을 정리하는 게 마지막 단계인데 모든 신호가 모이는 마스터링을 정리해야 합니다 문제가 되는 주파수의 처리아 전체 사운드의 입체감을 장고하기 위한 마스터 컴프레서 처리를 하고 CD와 디지털 음원용 마스터링은 클리핑을 방지와 음압을 올리기 위해서 마지막에 리미터를 인서트 하게 됩니다 그리고 레벨과 위상을 살피기 위한 미터 플러그인을 인서트합니다 그리고 CD 전용 마스터 음원이라면 미터 플러그인 다음에 UV22 등의 디더를 인서트 하고 16비트로 변환해야 합니다 이 시점에서 채널 20의 솔로 버튼을 눌러서 원래의 믹싱 음원과 비교해보면 음량이 상당히 커졌을 것입니다 마스터링 트랙의 페이더를 어느 정도 내려서 두 음원의 레벨을 비슷하게 맞추고 두 음원을 비교하..

우선 기본적인 마스터링 콘솔 연결 시그널 플로우를 알려드리겠습니다 DAW마다 페이즈 리버스의 방 법고 샌드를 모노로 만들 때의 레벨 보정 방법이 다르기 때문에 바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꼭 확인을 해봐야 합니다 이번에는 마스터링 콘솔 만드는 방법에서 캘리브레이션에 대한 설명을 해드리겠습니다 CH1 : 스테레오 믹스 파일 CH2 : 왼쪽 CH3 : 오른쪽 CH4 : 센터, 모노 CH5 : 사이드 CH6 : 사이드 로우 멀티밴드 컴프레서 CH7 : 사이드 미드로우 멀티밴드 컴프레서 CH8 : 사이드 미드하이 멀티밴드 컴프레서 CH9 : 하이 멀티밴드 컴프레서 CH10 : 센터 로우 CH11 : 센터 미드로우 CH12 : 센터 미드하이 CH 13 CH14 : 센터&사이드 로우 CH15 : 사이드 미드~..